본문 바로가기
각종 정보

[건강]췌장암 진단방법, 원인과 치료법은?

by mrslee 2023. 12. 1.
반응형

출처: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췌장암이란 췌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종괴(덩이)입니다. 췌장암의 90% 이상은 췌관의 샘세포에 암이 생긴 선암(腺癌)입니다.

 

췌장암이란

췌장암은 췌장에 생겨난 암세포의 덩이로 췌장암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90% 이상은 췌관의 외분비 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입니다.

췌장암은 증상이 미미하여 침묵의 암으로 불리며 초기진단이 어려운 암중에 하나입니다. 

그러나 조기 진단시 생존률을 크게 올릴수 있습니다. 

 

췌장암의 특징

  • 무증상 초기단계
  • 복부 통증: 복부통증은 췌장암의 침윤 증상일 수 있어서 통증이 없는 환자에 비해 예후가 안좋을 수 있습니다.
  • 소화기 증상 :소화불량, 통증,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 당뇨병의 악화 :췌장은 인슐린 분비를 하기때문에 당뇨병이 악화될수 있습니다. 
  • 황달 : 췌장암의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로, 췌두부암의 약 80%에서 나타납니다.
  • 체중감소 :  뚜렷한 이유 없이 몇 달에 걸쳐 체중이 감소하는 것은 췌장암 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증상

 

췌장암의 주요 원인

  • 흡연 : 담배는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입니다.
  • 당뇨 : 당뇨를 장기간 앓고 있는 사람과 가족력 없이 갑자기 당뇨진단을 받은 사람은 일단 췌장암 검사를 받을 것을 권합니다.
  • 만성 췌장염: 만성 췌장염이 있으면 췌장암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이것을 췌장암의 원인 질환으로 봅니다.
  • 가족성 췌장암: 직계 가족 가운데 50세 이전에 췌장암에 걸린 사람이 하나 이상 있거나, 발병한 나이와 상관없이 직계 가족 가운데 췌장암 환자가 둘 이상 있다면 가족성 췌장암이 아닌지 의심해야 합니다.
  • 화학물질: 각종 용매제, 휘발유와 그 관련 물질, 살충제(DDT)와 베타나프틸아민(β-naphthylamine), 벤지딘(benzidine) 등의 화학물질도 췌장암의 위험인자로 알려졌습니다.

 

진단방법 

현재 췌장암 진단을 위해 임상에서 사용하는 검사들로는 혈액검사와 혈청 종양표지자검사, 초음파검사, 전산화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 내시경 초음파검사(EUS),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그리고 복강경검사와 조직검사 등이 있습니다.

 

치료방법

1. 수술

췌장암에서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유일한 치료법은 수술입니다. 하지만 이런 근치적 수술이 가능한 환자는 20% 정도에 불과합니다.

 

2. 항암화학요법

항암화학요법, 통칭 항암치료는 암세포를 죽이기 위해 일정한 주기로 체내에 항암제(抗癌劑)를 투여하는 것입니다. 항암제란 암세포의 발육이나 증식을 억제하는 화학 약제의 총칭이며, 먹는 것도 있고 혈관에 주사하는 것도 있습니다. 암이 이미 전이되어 수술이 힘들 때 생명을 연장하고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해, 또는 수술 후에 남아 있을지 모르는 암세포들의 성장을 막기 위해 항암치료를 시행합니다.

 

3. 방사선치료

췌장암 환자 중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하지만 전이는 없는 사람이 40% 정도 되는데, 이들에게는 방사선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방사선치료와 함께 항암제를 투여하면 생존 기간이 연장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수술 중에 방사선을 조사(照射)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하면 주위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암 조직에 많은 양의 방사선을 쏘는 것이 가능합니다.

 

4.. 증상 치료-황달과 통증

종양이 담관을 폐쇄해서 황달이 왔을 때는 내시경을 이용하여 담관에 스텐트(stent), 즉 인공관을 삽입해 담즙을 배출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내시경적 역행성 담즙배액술(endoscopic retrograde biliary drainage, ERBD)이라고 합니다. 경험 많은 의사가 주관하면 성공률이 90% 이상이고 시술 관련 합병증은 1%쯤에 불과합니다.

반응형